##EasyReadMore##

이 블로그 검색

2010년 12월 8일 수요일

각 언론들이 추구했던 ‘사회 정의’의 본질은 무엇인가?

이 사건을 보도 한 진보 언론들이 추구한 ‘사회 정의’의 본질은 우선, 갈등 당사자 중 상대적 약자인 비정규직 노조원들에 대한 배려에서 출발한다. 운디드 니 점령 사례를 보도했던 미국의 언론들과 마찬가지로 진보 언론들은 이러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보도를 한 것인데, 이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를 통해 사회정의의 구현이 이루어 진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는 롤스의 정의론 원칙에 입각하게 된다.
보수언론은 기존의 사회 질서 유지를 추구하는 성향을 띤다. 특히 우리나라의 보수언론으로 대표되는 언론사들은 기득권층에 기생하고, 그들의 이익을 대변해주는 언론매체라는 인식이 강한데, 따라서 이랜드의 노조파업이 국가경제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과 폭력성으로 인해 생기는 사회의 불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며, 사측의 권력 유지에 따른 사회의 안정에 사회 정의의 가치를 두고 보도한 것이다.


‣ 진보언론은 과연 진정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를 위해서 인지, 아니면 기득권, 지배 계층에 대한 반발에 그 뿌리를 두는지, 혹은 대중들의 지지를 위한 뉴스 가치를 만들어내기 위한 것인지,
‣ 보수언론이 추구하는 사회정의는, 기득권층의 이익을 지키고 대변하기 위한 것인데, 과연 보편적인 관점에서 그러한 입장이 사회 정의라고 표현될 수 있는지,

; 위와 같은 질문들은, 그들이 추구하는 사회 정의에 대한 진정성의 논쟁을 불러일으킬 여지가 있다.
* 소쟁점

‣ 진보언론은 과연 진정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를 위해서 인지, 아니면 기득권, 지배 계층에 대한 반발에 그 뿌리를 두는지, 혹은 대중들의 지지를 위한 뉴스 가치를 만들어내기 위한 것인지,
‣ 보수언론이 추구하는 사회정의는, 기득권층의 이익을 지키고 대변하기 위한 것인데, 과연 보편적인 관점에서 그러한 입장이 사회 정의라고 표현될 수 있는지,

; 위와 같은 질문들은, 그들이 추구하는 사회 정의에 대한 진정성의 논쟁을 불러일으킬 여지가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찾으신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