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yReadMore##

이 블로그 검색

2010년 12월 5일 일요일

영화 언어의 정의

영화는 가공의 세계를 그리고 있으며 내러티브(narrative), 즉 줄거리를 갖고 있다. 그러나 영화는 현실을 재현하고 있는데 색채와 음향, 동작 등으로 구성된 공 감각적 영상에 의존한다. 영화매체의 특성이 유발하는 독특한 수용상황은 다른 매체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특수한 심리적 상태를 만들어 준다. 영화의 관람은 일반적으로 어떤 환상도 쉽게 주입될 수 있는 분위기 하에서 진행되며 관객의 활동은 오로지 보고 듣는 데만 매몰된다. 스크린은 행동이 구속된 관객들에게 집중적으로 호소할 뿐 스크린과 관객 사이에 토론은 성립되지 않는다. 오직 스크린의 일방적 픽션의 세계를 관객은 수용하게 되고 관객 각자의 수용 여하에 따라 스크린에 나타난 가공의 세계가 관객들에게 현실세계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감독은 샷(shot)을 의도에 맞게 연결하여 새로운 창조를 하는 몽타주(montage) 기법 등을 통하여 사실을 왜곡하거나 변형할 수 있으며 이를 마치 사실처럼 보여줄 수도 있다. 영화의 관객은 소설의 독자에 비해 자유로운 재창조의 과정을 갖지 못하며 피상적이고 표면적이다. 영화는 문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대상과 사물, 사건을 제시해줄 뿐이므로 독자의 참여 공간이 줄어들고 독자는 수동적이고 정태적이 된다. 그것은 영상이 이미지를 통한 감성적인 매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화언어란 스크린과 음향 동작 등의 설정만으로 관객이 어떠한 상황이고 무슨 의도인지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리고 우리는 이를 익힘으로서 능동적인 관객이 되어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찾으신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