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장인물과 묘사대상을 영사막과 화면에 얼마 크기로 제시하느냐에 따라 구분되는데 피사체와 카메라간의 거리감이 환기되는 것이다. 관객의 인지작용을 조정하는 핵심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관객은 자신의 일상적 체험을 전이시키기도 한다. 생산자 입장의 쇼트는 묘사대상의 현실과 플롯의 표현수단이며 수용자 입장의 쇼트는 사건과 사람을 받아들이는 인지의 틀이다. 이러한 쇼트를 통해 우리는 굳이 배우가 말로서 표현을 하지 않아도 화면의 크기나 묘사대상을 잡는 앵글의 각도에 따라 그 상황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데 이것이 영화언어의 쇼트가 같은 특징이다.
2.2 미장센
미장센이란 무대 위에서의 배치 또는 장면화란 뜻으로 회화적이면서 연극적인 뿌리가 있는 말이다. 3차원 현실을 2차원의 공간 속에 이동시켜야 하는 영화의 과제는 연극이 지닌 공간구성의 기법과 화면이라고 불리 우는 프레임을 활용해야 하는 난제를 안고 있으며 그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고 발전된 영화언어가 미장센이다.
몽타주가 편집의 양식을 통해 영화의 주제에 효과적으로 도달하려는 목포를 달성했다면, 미장센은 좀 더 섬세하고 적극적인 작가의 주관이 강요된 형식, 따라서 이후의 작가주의 영화에 뚜렷한 종적을 남겼다. 이는 한 화면 안에 “연기해야 한다”는 원칙과 닿아 있다. 무심히 놓여 있는 꽃 병 하나, 연기하는 배우, 지나가는 배경, 구축돼 있는 세트, 그 모든 것이 하나의 장면 안에서 작가의 주제를 위해 봉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미장센은 기본의 몽타주 영화와 달리 롱테이그나 딥 포커스로 표현된 화면 안에서 원하는 효과를 창출해 내고 있다.
현대영화의 미장센은 몽타주의 그것과 달리 보편화 된 영화 언어로 쉽게 확인 할 수 없는 독특한 영역을 지니고 있다. 이는 프레임이라는 한정된 공간과 시간 안에 작가의 재능과 탐구심을 응축 해내야 한다는 어려움 때문이기도 하다. 프랑스에서 미장센은 영화의 연출을 의미하는 말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영화의 화면을 말할 때 주로 쓰이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영화의 한 장면 내의 요소들, 즉 극적인 액션을 둘러싼 물리적 환경을 말하기도 한다.
2.3 몽타주(Montage)
몽타주는 영화의 가장 기본이며 동시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설치하다, 모으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어 “여러 가지 영상을 한 화면 내에 짜 넣는다”“편집을 통한 필름의 조합”을 가리키는 사진용어였으나, 러시아의 이론가들에 의해 영화에 도입되어“쇼트”들의 여하한 연결에 의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조한다. 이후 “편집”과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
몽타주의 제작과 이론적인 연구는 사진과 영화 양쪽에서 거의 동시대에 행하여지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포토몽타주가 주로 회화와의 관계 속에서 관찰되었던 반면, 영화는 전통적인 예술 장르들과 독립된 대중 예술의 장르로서 성립되었다. 영상언어의 기초이며 기계영상시대의 핵심적인 시각예술 기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몽타주(montage)란 원래 프랑스어의 동사 manter의 명사형으로서, 일반적으로 본질적으로 다른 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전체 상을 형성하거나 그렇게 여겨지는 결합의 의미지만, 현실적으로는 여러 방면에 다양한 뜻으로 쓰여지고 있는 말이다. 먼저 일반인들에게 있어 그것은 범죄 수사에 사용되는 합성 사진을 연상시킬 것이고, 프랑스 영화에서 보자면 편집(edit)과 같은 말이다. 그러나 여기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주로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영상예술의 혁신적인 규범으로 추구되었던 기법을 지칭하는 용어로서의 몽타주이다.
그런데 예술 제작상의 한 기법으로서의 몽타주에 관하여 논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전제되어야 할 것은 그것이 원래는 공학 용어였다는 사실이다. 이 용어를 예술작품의 제작 기법으로 사용하였다는 사실은 그 작가들이 스스로를 예술가가 아니라 엔지니어로 자처하고, 자신의 행위는 예술작품을 제작하고 있다기보다는 기계를 조작하고 있다는 사실을 표명했음을 뜻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