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yReadMore##

이 블로그 검색

2010년 12월 2일 목요일

성격이란 무엇인가?

1)성격의 어원
(1)성격이란?
성격(Personality)이란 말은 그리스 어 'persona'에서 유래 되었다. 그리스 어 페르조나는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배우들이 쓰던 가면을 일컫는 말이다. 이는 어떤 사람의 참모습이라기 보다는 배우가 가면을 쓰고 무대에서 연극하듯 사람들이 사회장면 속에서 피상적으로 나타 나는 사회적 이미지를 뜻한다. 즉 'personality'란 말은 사회라는 커다 란 무대에서 사람들이 나타내는 외현적인 행동양상이다.1)

(2)성격과 관련된 용어
①개성: 사람의 됨됨이 중에서도 그 개인만의 특징과 남과구별지어 주는 개인만의 독 특한 성질의 정도를 가리킨다.
②기질: 체질에 바탕을 둔 정서발동의 경향을 일컫는 것으로 쓰이며 유전적 요소가 강하고 따 라서 성장 후에도 별로 변함이 없는 개인적 특징을 일컫는다.
③인격:개인의 사람 됨됨이나 그의 행동을 평가할 때 쓰이며 부분적이기보다는 총괄적인 의미 은 갖는다. 평가는 가치 판단에 따른 것인바 성격과 인격과의 관계는 인격 =성격+가치 라 할 수 있다.

2)성격의 구성요소
성격은 내적요소와 외적요소로 나누어 설명 할 수 있다. 내적 요소란 선천적으로 타고난 심리요소를 말하는데 선천적인 심리특성을 강조하는 특성(character)과 생물학적으로 결정되는 체질과 같이 선천적으로 결정되는 심리특성인 기질(temperament)로 구분된다. 외적요소란 사회. 문화적 환경 속에서 사람들이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외현적인 행동패턴을 말한다.

3)성격의 정의
‘개인의 특징적인 행동과 사고(思考)를 결정하는 개인 내부의 정신-신체적인 체제의 역동적 조직이다’ (=>G. Allport의 정의), 이 정의에서 ‘역동적 조직’이라는 말은 성격이 일정한 구조와 체계를 갖춘 것이기는 하지만, 성격은 계속적으로 발달하고 변화하며 적응해 나가는 과정의 것임을 뜻하고 있다. ‘정신- 신체적인 체제’ 라는 말은 성격이 전적으로 정신적이라든가 신경적인 것 중의 어느 하나라기보다는 정신과 신체 양자가 함께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정하는’ 이라는 말은 성격이 개개인의 행동의 결정 경향성을 지니고 있음을 뜻한다.

4)성격의 결정요소2)
사람을 구성하는 요소가 심리적 요소와(mind) 와 신체적 요소(body)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 다라 말 할 수 있는데(=>Descartes) 심리학에서는 심리적 .신체적 요소 이외에 사회적요소를 사람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킨다. 심리학에서는 사람의 성격이란 선천적으로 어느 정도 결정되지만 최종적으로 사회란 테두리 안에서 어떤 환경을 경험 하느냐에 달려 있다. 즉 심리학에서는 선천적 요소보다는 후천적 환경요소를 더 강조한다.
(1)생물학적요인
①유전요인-에너지의 이동과 정서 반응성에 관계되는 성격특성(부드러움, 일반 신경증, 의지력, 신체, 불안, 쾌활성, 정력성, 적응성 등)은 유전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고 사회성 사기(士氣)에 관계되는 성격특성은 환경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②신체적요인- 호르몬의 작용, 신경, 생리적 조건, 감각미의 예민성, 체격등과 같은 생리 적 구조를 말한다.
③생화학물질의 요인-내분비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영향
(2)사회적 요인
①유아기의 경험-성격형성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성격 이론가들이 유아기의 경험을 강조 하고 있지만 이들의 견해에는 차이가 있다.
②가정 -우리가 겪는 어린 시절은 성인이 된 후에도 우리 속에 내재과거아 (內在過去兒) 로 남아 있어 심각한 정신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W. Hugh Missildine)

③사회 및 문화 -개인이 속한 문화속의 가치와 규범은 성격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④동료집단-부모의 영향이 아동의 초기 성격발달에 중요하나 동료집단은 후기 또는 계속 적으로 성격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찾으신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