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yReadMore##

이 블로그 검색

2010년 12월 2일 목요일

건강한 성격 이론들2

3)Maslow의 자아실현인
(1)Maslow는 인간의 성격을 유일하면서도 통합된 전체로서의 개인에서 이해하려 하였다. Maslow의 계층적욕구이론에서 최상의 욕구인 자기실현의 욕구를 강조하고 역사적으로 자 기를 실현한 인물의 성격특성을 분석하여 자기실현인의 특성을 찾으려고 했다.7)
(2)Maslow의 건강한 성격(자아실현인)8)
①보다 더 적절한 현실지각을 가지며 현실과 보다 더 바람직하게 관계를 맺고 있다.
②사고. 정서. 행동 등에 있어서 보다 더 자발적이다.
③과제 중심적이다.
④개인적인생활을 즐긴다.
⑤고도로 자율적이다.
⑥사물에 대한 이해가 늘 새롭다.
⑦신비로운 혹은 절정 경험을 자주 갖는다.
⑧인류를 돕고자 하는 욕망은 물론 모든 인간에 대하여 강하고 깊은 애정을 갖는다.
⑨몇 사람의 친구나 혹은 사랑하는 사람들과 아주 밀접한 대인관계를 맺고 있다.
⑩민주적인 인성주의를 가지고 있다.
⑪수단과 목적 선과 악을 구별하는 등 논리의식이 강하다.
⑫적개심이 없는 유머와 센스를 가지고 있다.
⑬창조적이다.
⑭문명 및 문화에 영향에 휘말리지 않는다.

4)Fromm의 생산적 지향9)
(1)성격을 문화의 산물로 보았다.
(2)Fromm의 건강한 성격
①자신을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②다른 사람들과 진정한 인간관계를 갖는다.
③이성으로써 세상을 파악하고 이해한다.
④생산적인 일을 할 수 있다.
⑤보람 있고 가치 있는 일은 한다.

5)Jung 개별화된 인간
(1)융의 신정신분석10)
①프로이드의 무의식 개념에 집단무의식이라는 개념을 첨가하였다. 집단무의식이란 과거 세대의 누적된 경험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모든 인간이 공유하는 것이며 사고하고 느 끼는 방식, 인생과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 신과 인류에 대한 인식 등에 영향을 주는 인간 의기본성향이다. 융은 한 인간의 전인격적 심리구조를 통틀어 사이키(Psyche)라고 표현 했는데 이러한 사이키는 의식의 심층을 둘러싼 자아, 그 의식을 둘러싼 개인무의식, 그리 고 집단 무의식과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이 집단무의식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가 원형(archetype)이라고 보았다. 대표적인 원형에는
㉠타인에게 자신의 모습을 나타내는 페르조나(persona),
㉡성이 가지고 있는 여성적 측면인 애니마(Anima),
㉢여성이 가지고 있는 남성적 측면인 애니머스(Animus),
㉣인간의 어둡고 사악한 동물적인 측면인 그림자(shadow),
㉤여러 가지 상반되는 원형이나 성격 요소들을 통합하고 조화롭게 하는 자기(self)가 잇 다. 이중자기는 사이키의 구조 중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융은 사이키의 모든 원형 들이 완전히 성숙한 후에야 개인의 발전이 비로소 가능하다는 입장을 취했다.
②외향성과 내향성-융은 개인이 지향하는 태도를 크게 외향성과 내향성으로 나누었다. 외 향성의 사람은 심리적 에너지로서의 리비도가 외부, 다른 사람등 객관의 세계로 흐르는 데 비해 내향성의 사람은 에너지를 밖으로 내보내지 않고 가능한 한안에 간직하려 한다. 또한 윤은 개인이 세상을 경험하고 이에 대처하는 방식으로 4가지 기능을 제시한 바 있다. 이 네 가지 중 가장 발달된 것을 주기능이라 하고 발달이 안 된 기능을 열등기능이라 이름 붙였다.
㉠사고(thinking) -관념적이고 지적인 기능이다.
㉡감정(feeling) -사물의 가치를 따지는 것이다. 이 기능을 통해 유쾌, 고통, 분노, 공포, 비애, 즐거움, 사랑 등의 주관적 경험들을 체험한다.
㉢감각(sensing)- 지각적, 현실적 기능이다. 외계의 구체적 사실들이나 표상을 낳는다.
㉣직관(intuiting)―무의시적 과정과 잠재적 내용들에 의한 지각이다. 직관적인 사람은 현실 의 본질을 추구함에 있어서 사실과 감정과 개념을 초월한다.
(2)Jung의 건강한 성격11)
①자각 ②자기수용 ③자기통합 ④자기표현 ⑤인간관용 ⑥미지와 신비의 수용
⑦보편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Perls의 ‘여기 그리고 지금’의 인간
(1)Perls의 건강한 인간12)
①현제 실존의 순간에 안정되게 그 바탕을 두고 있다.
②자기가 누구이고, 어떤 사람인가에 대하여 충분한 인식을 하고 받아들인다.
③억제하거나 죄책감 없이 개방적으로 자신의 충동과 욕망을 표현 할 수 있다.
④자신의 삶에 대하여 책임을 질 수 있다.
⑤자기의 인생에 대하여 다른 어느 누구에게 책임을 전가 시키지도, 다른 누구에 대해서도 자기가 책임을 지지 않는다.
⑥자기의 감각과 감정 그리고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과 접촉을 한다.
⑦솔직하게 분노를 표현 할 수 있다.
⑧자기 삶의 외부적 간섭이나 초점으로부터 자유롭다.
⑨상황의 모든 면을 감지한다.
⑩위축된 자아경계가 없다.
⑪ 행복의 추구에 열중하지 않는다.

7)Rogers의 완전히 기능하는 인간
(1)Roger의 자아이론13)
①인간주의 이론가의 대표자라 할 수 잇다. 인간행동은 자기가 지각한 자아개념에 달려 있음 으로 개인이 세계를 어떻게 지각하고 해석하느냐는 직접적인 사건의 결과로 생기는데 이는 자아와 그 특서이 중요하며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자신의 내적 참조체제가 필요하 다고 보았다.
②성격을 이해하는 데 유기체와 자아를 중요한 구성개념으로 들고 잇다. 유기체는 모든 경 험의 소재지이며 자아개념은 개인 자신의 특징에 대한 지각, 타인과의 지각으로 구성되어 체계화된다.
(2)Roger의 건강한 성격14)
①경험에 대한 개방성 ②실존적인 삶 ③자신의 유기체에 대한 신뢰
④자유의식 ⑤창조성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찾으신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