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yReadMore##

이 블로그 검색

2010년 11월 29일 월요일

효과적인 칭찬 방법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칭찬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요령이 필요하다. 여기서 효과적인 칭찬 방법 8가지를 살펴보자.
① 구체으로 칭찬해라적
예를 들면 외모에 대해서 칭찬할 때는 ‘예쁘다.’라는 말보다는 눈, 코, 입 어디가 예쁜지, 아니면 오늘 입은 옷이랑 잘 어울려서 예쁜지 구체적인 말이 더 효과적이다. ‘예쁘다.’라는 말은 일단 기분을 좋게 만들긴 하지만 분명하지 않고 애매모호하므로 신뢰성이 떨어진다.

② 간결하게 칭찬해라
구체적인 칭찬이 효과적이라고 해서 너무 길게 하면은 무슨 말을 하려는지, 지금 하고 있는 말이 칭찬의 말인지, 복잡해서 듣는 사람이 오히려 짜증날 수가 있다. 그래서 상대방의 장점 중에서 딱 하나만 골라서 간결하게 하는 것이 더 깊은 인상을 주며 기억에 오래 남는다.

③ 남 앞이나 제3자에게 칭찬해라
사람은 누구나 자기를 자랑하고 싶어한다. 단지 쑥스럽고 속보일까봐 자제할 뿐이다. 그래서 남 앞에서 칭찬해 주면 자기를 스스로 자랑할 필요 없으므로 더없이 기분이 좋다. 그리고 다른 사람, 제3자에게서 친구가 자기한테 한 칭찬을 간접적으로 들었을 때 “나한테는 표현 안 하지만 나를 그렇게 생각하네.”하고 자기 앞에서 칭찬하는 것보다 믿음이 더 간다. 내 앞에서는 내가 좋다는 말만 하다가 뒤에 가서 딴 말을 하는 사람들의 말보다 간접적으로 들은 칭찬이 더 진실한 마음에서 나온 말인 것 같다.

④ 사소한 것을 칭찬해라
잘 보이거나 누구나 해 주는 칭찬을 해 주는 것보다 남들이 보지 못하는 사소한 장점을 찾아서 칭찬해주는 것이 의외로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어느 대회에서 상 탄 것에 대해서 “대단하다.”는 칭찬보다 평소에 하는 행동 “정리 진짜 잘한다. 매번 와도 방이 늘 깨끗하다.”는 칭찬이 더 듣기 좋다.

⑤ 우연 그리고 의외의 상황에서 칭찬해라
칭찬을 매사에 매번 늘 반복해서 것보다 뜻밖에의 칭찬이 상대를 더 감동시킨다.

⑥ 상대에 따라 칭찬 내용이나 방법을 달리해라
이 내용은 지난 수업에서 찬동의 격률을 배웠을 때도 나왔는데 상황이나 상대에 따라서 칭찬하는 방법이 다르면 더 좋다는 것을 다들 기억하실 거라고 생각한다. 수업하는 선생님에 대해서 칭찬하라고 하면 목소리 크기, 재미있는 이야기를 많이 해 줘서 수업이 재미있다는 것, 설명을 쉽게 간단하게 해 줘서 귀에 잘 들어오고 기억에 오래 남는다는 것, 이런 칭찬이 더 적합하다.

⑦ 결과뿐 아니라 과정과 노력에 대해서도 칭찬해라
일을 다 끝내서 좋은 성과를 얻었을 때만 칭찬하지 않고, 그 일을 하고 있는 동안 얼마나 열심히 하고, 거기에 쏟은 노력과 열정에 대해 칭찬하면 상대는 용기를 갖고 일을 더욱 열정적으로 하게 될 것이다.

⑧ 당사자 주변의 인물을 칭찬해라
집에서는 사이 안 좋은 가족도 남이 욕하면 듣기 싫기 마련이다. 칭찬은 꼭 당사자 한 사람한테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당사자 주변의 인물을 하는 것도 그 사람한테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자기와 관계있는 사람한테 칭찬을 했을 때도 마치 자기한테 한 것처럼 기분이 좋아진다. 예를 들면 친구 어머니에 대해서 칭찬할 때, “니 어머니 정말 젊으시다. 그 연세에 그렇게 안 보이셔.” 이런 식의 칭찬도 효과적인 방법 중에 하나이다.

주의점
칭찬을 많이 해 준다고 해서 늘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한 사람한테서 계속 똑같은 칭찬을 반복해서 듣게 되면 그 말에 싫증이 난다. 이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다고 본다. 따라서 이것도 잘한다, 저것도 잘한다, 이점도 좋다, 저점도 좋다고 하는 것이 아부나 그냥 빈말로 하는 것처럼 들린다. 그리고 그런 사람의 말에 감동받기는커녕 오히려 그 사람을 믿지 못하게 될 것이다.
칭찬을 할 때 또 하나 주의해야 할 점은 상대나 상황에 따라서 칭찬 내용이나 표현방법을 달리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회사 신입사원이 상사에게 ‘참 똑똑하네요.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할 수 있어요?’라는 말에 기분이 좋아져야 하는 대신 대부분의 경우 ‘감히 네가 나를 똑똑하다고 할 자격이 있어?’라는 생각을 하며 불쾌해한단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찾으신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