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yReadMore##

이 블로그 검색

2010년 12월 8일 수요일

‘사회정의’의 정의(Definition)는 무엇인가?

‘사회정의’는 본질적으로 논쟁적인 개념으로 한국 언론에만 적용해봤을 때 보수, 진보 둘 다 ‘사회정의’의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그 보도행태는 극명하게 갈린다. 이것은 보수와 진보가 생각하는 ‘사회정의’의 정의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보수주의 이데올로기에 기반한 보수언론은 공리주의를 추구하며 사회의 기득권, 사회적으로 안정된 기존의 것을 고수하려는 입장을 가진다. 즉, 보수언론이 생각하는 ‘사회정의’는 사회적으로 안정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지만 진보언론의 ‘사회정의’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기 쉬운 ‘사회정의’ 즉, 존 롤스(John Rawls)의 ‘정의론’에 입각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불평등한 분배를 통한 평등의 구현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도 행태는 다르게 드러난다. 즉, 한국 언론에서 발생하는 ‘사회정의’의 윤리적 쟁점은 ‘사회정의’에 대한 개념이 다른 것의 의한 충성의 문제 역시 포함하게 된다고 생각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찾으신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