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향을 미치고 있다.
(1) 정치방면
연 대 남성참여비율 여성참여비율
===================================================
1957년 전국인민대표대회 1225명(88%) 147명(12%)
1988년 전국인민대표대회 2342명(78.7%) 634명(21.3%)
전국정치협상위원회(제1차) 93.4% 6.6%
전국정치협상위원회(제7차) 86.4% 13.6%
1951년 간부수 328만명(89.96%) 36.6만명(10%)
1991년 간부수 2314만명(69.7%) 1004만명(30%)
1992년 국무원속 각부장 186명(92.1%) 16명(7.9%)
1992년 각성의 성장(省長) 93.8% 6.2%
시장(市長) 92.6% 7.4%
---------------------------------------------------
※ 그림표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정치의 여러 분야에서 여성의 정치참여 비율은 점차 높아지는 추세이며,
사실상의 여성지위 또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 중국 국무원 부총리 우이 (吳儀).
여성으로서 중국 정계의 핵심자리까지 오른 전지적인 인물이자 2005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100인’에서 2004년에 이어 연속 2위를 차지한다. 한 러시아 기자는 그녀와의 인터뷰를 마친 후 “중국 민족의 가장 완벽하고 분명한 성격을 보여준 느낌”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포브스 잡지의 기자는 “우이 부총리는 중국의 고위급 지도자 가운데 가장 훌륭한 사람 중 하나다. 그녀는 중국의 WTO가입 및 통화 정책 등 부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중국의 위상을 드높였을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우리는 이러한 그녀의 영향력을 높이 산다”라며 “우이 부총리는 자신감 넘치고 우아하며 지혜로운 중국 여성이다”라고 평가했다.
(2) 경제방면
경제면에서 볼때 중국의 男女地位는 평등하다. 특히 신중국 성립후 공동생산, 공동분배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경제적 평등이 자리잡게 되었으며, 중국의 개방 개혁후 경제활동의 형태가 전통농업, 양식업등 에서 가공, 복장, 상업, 전통공예로 다양화 되면서 많은 여성이 활약 하게 되는데 1990년 통계에 다르면 전국향진기업(鄕進企業)중 여성 농민 직원이 4000만명으로 전체의 42%를 차지했다.
이처럼 중국사회는 여성의 사회참여가 높고 신분상 불이익이 없기 때문에 일반 직장에서 여성상사와 남성부하직원의 상하체계를 쉽게 접할수 있다. 일반 중국인들의 관념하에 이는 상당히 보편화된 일이며 특이한 일은 아니다. 그래서 男.女간 알력이라든지, 회사에서 받는 불평등, 불공정 대우, 그리고 여성이기 때문에 받는 피해나 제약은 찾아볼수 없다. 이는 중국일반인들 기본관념에 깔려있는 “平等思想”과 같이 볼수 있으며 중국사회에서 경제적인면의 여성 사회진출을 통한 男.女의 지위를 말해주는 단적인 예로 들수있다.
이러한 중국사회(企業)의 특징은 같은 동양권 국가에서도 상당히 특이한 것이기 때문에 대중국업무시 많은 주의를 요하게 된다. 예를들어 한국측partner가 남성이고, 중국측partner가 여성일때 (실제 이런예는 굉장히 많고 일반기업의 중간관리자의 절반은 여성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만약, 중국측partner를 무시하거나 필요이상의 요구를 할경우 중국측에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대편에 대해 상당한 반감을 가지게 된다. 이는 앞에서 언급했듯이 중국사회에서는 특히 업무상 男.女의 지위를 平等.同等한 관념으로 보기 때문이다.
3)농촌여성을 주시한다.
경제 구조의 전환은 나라 전체의 종합적인 개혁을 불러일으켰다. 시장 경제의 거대한 물결이 지방으로 유입되고 여성은 개혁의 선봉에 있다. 남성 노동의 상당량이 도시로 유입되었기 때문에 농업 생산의 50퍼센트를 책임진다. 새로운 고무적인 상황과 거대한 짐, 이 둘은 농촌 여성에게 기회와 도전을 제공한다. 오래된 농촌을 궁극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유리한 조건을 이용하여 농촌 여성을 광범위하고도 철저하게 조직하며 수억 농촌여성의 무한한 잠재력을 놓지지 않는 것이 긴급한 과제가 되었다 이에 시의 적절하게 전국 부녀 연맹이 1989년에 전국 농촌 여성들과 함께 "열심히 배우고 열심히 일하자"운동을 시작하였다. 지금 1억 2천만 농촌여성이 현저한 성과를 을리며 그 운동에 참가하고 있는데 그 성과는 다음과 같다: 농촌 여성의 문화적, 과학적, 기술적 자질의 향상, 그들의 참여 의식의 고취, 사회화된 서비스 체제의 발전, 과학과 기술의 강화, 농촌 여성에게 필요한 과학과 기술의 강화, 수입의 중대. 그 운동이 시작된 이후 6년이 되었고 이미 뚜렷한 변화가 통계상 나타나고 있다. 9천 6백만명의 농촌 여성이 여러 종류의 실제적/기술절 훈련을 받았고 3천 3백 3 만명의 여성 문맹자가 읽고 쓰게 되었고 5십 1만명의 농촌 여성이 농업 기술자가 되었다. 1천만명 이상의 빈민 여성이 가난에서 벗어났고 여성의 기여는 총 농업 생산량의 50-60퍼센트를 차지한다. 총촌 여성의 -열심히 배우고 열심히 일하자"운동에 대한 전국 심포지움이 1994년 11월에 열려 여성의 활동을 시장 경제의 발전 에 어떻게 적용하고 체계의 다양한 차원의 전선에 따라 여성을 어떻게 유입할 것 지에 대해 격론이 오고 갔다.
심포지엄에서 표현된 주요 사상은 다음과 같다: 1) 여성의 과학적, 기술적, 문화적 자질, 사업 경영 능력을 더욱 더 향상시킬 것 2)개 인 또는 개별 가족의 참여로부터 개인과 집단 참여의 조합을 증진할 것 3)생산과 사업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참여 여성들을 조직화 할 것 4)농촌 여성을 시장 경제에 진출하게 하는 데 불리한, "운명에의 체념", "자기 운명에 만족하기", "자기 비하"와 같은 구전통 사상을 극복하는 것 5)가난을 극복하고 부자가 될 수 있도록 빈민 여성을 계속해서 돕는 것.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