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yReadMore##

이 블로그 검색

2010년 11월 29일 월요일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제(APEC)

APEC(Asia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아시아 & 태평양 경제협력체(Asia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는 1980년대 세계를 풍미한 배타적인 성격의 경제 블록과 보호무역주의 추세를 지양하고, GATT 정신을 기조로 하는 무역자유화 추진과 아․태지역 국가간의 경제협력을 표방하면서 1989년 11월 호주 캔버라에서 제1차 각료회의를 소집함으로써 발족되었다.

성립의 배경
1980년대 세계를 풍미한 배타적인 성격의 경제 블록과 보호무역주의 추세를 지양하고, 무역관세협정(GATT) 정신을 기조로 하는 무역자유화 추진과 아․태지역 국가간의 경제협력을 표방하면서 1989년 11월 호주 캔버라에서 제1차 각료회의를 소집함으로써 창립했다.

APEC 가입국 현황
APEC 회원국은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미국, 캐나다 및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6개국가등 12개국가이었으나, 서울에서 개최된 제3차 각료회의에서 중국, 대만, 홍콩 등 중화 권 경제가 추가 가입하였고, 이후 계속된 회원국의 확대 및 러시아, 베트남, 그리고 페루가 가입하여 회원국 규모는 21개국으로 늘어나 지역적으로 태평양 동서 연안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경제협력체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구상발전과정
1)1960년대 초반 ~ 1967년 기간
첫 번째 기간은 바로 경제협력의 구상과 계획 단계이다. 이 기간에 중요한 성과는 민간 부분에서의 태평양 경제 협의회 ( Pacific Basin Economic Council : PBEC)가 창설된 것이다
2)1968년~1977년 기간
이 기간은 경제협력에 대한 구상이 학술적 영역, 사업적 영역으로 구체화된 시기이다. 비록 일본과 ASEAN 국가들, 또는 일본과 호주의 관계로 국한되기는 하였으나 태평양 지역 내이서의 관계를 발전시키려는 의도가 컸던 시기로 평가되고 있다.
3)1978년~ 현재 기간
세 번째 기간에는 많은 나라들의 관심이 시작되어 그에 따른 실무와 정책에 관한 활동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미국의 이 지역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국제적으로 APEC에 대한 힘을 실어 주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일본의 지역 협력과 조화를 위해 태평양 유역 협력 연구 그룹(Pacific Basin Cooperation Study Group) 창설 , 1980년 호주 정부의 공식적 지원 하에 캔버라에서 태평양 협력 세미나 개최 등 구체적인 계획을 행동으로 옮기려는 시도가 잇달았다 지역 국가들간의 지역적 합의가 시작되었고, 이러한 합의는 태평양 경제 협력 위원회(Pacific Economic Cooperation Council :PECC)의 체계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PECC는 협력의 원칙과 발전 방향에 대한 정부의 점진적인 합의에 의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보다 영향력 행사를 할 수 있는 수단으로 APEC이 창설되게 되었다. 즉 APEC은 PECC보다 더 종합적이고 실질적인 역내 정부간의 대화 수단의 필요성에 의해 창설된 기구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찾으신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