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현대의 다양한 사회에 맞는 교육을 위한 성격형성으로 건강한 성격이 중요하다는 전제하에 개인의 성격형성에 관한 이론과 아울러 성격이란 무엇이며 성격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으며 건강한 성격의 특성을 학자들을 비고하며 알아보았다.
2. 결론
1)성격이란 개인의 특징적인 행동과 사고(思考)를 결정하는 개인 내부의 정신-신체적인 체 제의 역동적 조직이다.
2)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생물학적 요인 사회적 요인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3)성격의 다양한 이론들은 학자들마다 성격이론이 강조하는 이론체계의 복잡성과 구조화 를 강조하는 정도에 따라서 다양하다.
4)성장 심리학자들마다 제시하는 건강한 성격은 다 다르지만 그 공통점들을 묶어 보면 다음과 같다.
①자신의 삶을 의식적으로 통제한다.
②자기 자신이 누구이며 어떤 사람인가를 알고 있다.
③건설적인 자기 정체감은 물론 타인을 지각하는 데 있어 객관적인 태도를 취하며 타인의 결점에 대해서도 관대하다.
④과거 속에 살지 않으며 현제에 견고하게 정박하면서 미래지향적인 조망을 가진다.
⑤평온과 안정을 갈구하기 보다는 새로운 목표와 새로운 경험을 위한 삶의 도전과 흥분을 갈구한다.
⑥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지나치게 억압하지 않고 비교적 솔직하게 표현한다.
3. 제안
인간의 성격은 다양한 과정을 통해 발전하며 성장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인간의 성격을 긍정적이고 열린 마음으로 접근하며 연구해야 한다. 좋은 교육 환경을 통해 아이들에게 건강한 성격을 형성 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특히 그리스도를 믿는 크리스챤은 예수님의 장성한 분량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성장 해 가야 한다. 성장하지 못할 성격도 없고 성장 하지 않아도 될 완전한 성격이란 없다. 문제아 뒤에는 문제선생과 문제부모가 있듯이 학생들의 성격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더 나은 성격으로의 성장을 위해 늘 열린 마음으로 아이들의 성격을 이해하며 더 나은 성장을 돕기 위한 통찰력을 쌓아가야 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는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